본문 바로가기
기타/지구과학

2024학년도 수능 지구과학2 주요문항 해설

by saika.stella 2023. 11. 19.

전체적으로 개념 공부를 충분히 하기만 했어도 헷갈릴 법한 문항이 거의 없어 딱히 해설할 문항을 선별하기 애매했기 때문에, 그냥 메가스터디 기준 정답률 50% 미만인 것만 해설합니다.


8번 (49%)

50% 이하가 나올 문제가 아님에도 이렇게 된 것을 보면, 지구과학 2 선택자 표본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음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아주 전형적인 단층 문제로 개념서에 있을법한 문제입니다.

 

해설

ㄱ. B의 주향은 NS. (거짓)

 

ㄴ. 지층의 생성 순서는 A, B, C 순입니다. (참)

 

ㄷ. 지질 단면도를 그려보면 상반은 단층 기준 동쪽에 있는 지층입니다. 이때 A와 B의 경계선이 단층 경계선과 만나는 점을 관찰해 보면, 단층의 서쪽에서는 약 200m, 동쪽에서는 약 300m이므로 상반이 상대적으로 위로 올라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역단층입니다. (거짓)


 

12번 (45%)

ㄴ 선지가 핵심인 문제. 광도란 무엇일지 생각해 봅시다.

 

해설

ㄱ. 누가 봐도 저 모양은 산개 성단. (참)

 

ㄴ. 일단 색지수가 $0.8$인 주계열성의 겉보기 등급을 비교해봅시다. (가)에서는 $11$, (나)에서는 약 $21$입니다. 약 $10$등급의 차이가 나고, 이게 두 성단 간의 거리지수가 될 것입니다. 한편 별 ㄴ의 겉보기 등급은 $16$. 만일 (나) 성단이 (가) 성단과 같은 거리에 있었다면, 별 ㄴ의 겉보기 등급은 $16-10=6$등급이 됩니다. 즉, 같은 거리에 놓고 보았을 때 별 ㄴ이 별 ㄱ보다 밝으므로, 절대적인 밝기를 비교하는 척도인 광도는 별 ㄴ이 별 ㄱ보다 큽니다.

 

이렇게 안해도, 애초에 구상성단의 색등급도로부터 같은 색지수를 가지는 주계열성과 적색거성을 비교할 때 적색거성의 광도가 더 크다는 것을 너무나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참)

 

ㄷ. 두 성단 간의 거리지수는 10이므로, 두 성단의 거리비를 $r$이라 놓을 때

$$5\log r-5=10 \: \rightarrow \:  r=10^3$$

이므로 $10$이 아닙니다. (거짓)


18번 (46%)

행성의 공전 주기와 회합 주기 암기는 가끔 도움이 됩니다.

 

해설

ㄱ. A를 보니 회합주기가 약 4개월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공전주기를 $P$개월이라 할 때,

$$\frac{1}{4}=\frac{1}{P}-\frac{1}{12}$$

이므로 $P=3$개월입니다. 즉 공전 주기는 회합 주기보다 짧습니다. 그런데 애초에 회합주기가 4개월인 행성은 누가 봐도 수성 뿐입니다. 수성의 공전 주기는 3개월. (참)

 

ㄴ. ㄱ 기간에서 A는 태양보다 나중에 남중하는 동방 이각 중에서도 최대이각에 위치합니다. 동방 최대이각에서 행성은 해가 진 후 서쪽 하늘에서 관측됩니다. (참)

 

ㄷ. ㄴ 기간에서 A는 태양보다 먼저 남중하는 서방 이각에 위치하므로, 지구와의 거리는 멀어집니다. (참)


19번 (33%)

ㄷ을 맞다고 한 학생이 정답을 선택한 학생보다 많습니다. 밀도가 일정한 층 안에서의 등수압면 기울기가 일정하다는 것은 매우 빈번하게 출제되는 개념입니다.

 

해설

ㄱ. 같은 밀도의 해수와 같은 중력 가속도의 영향을 받을 때 수압은 오직 수심에만 비례하므로, 수압의 크기는 P가 Q의 $\frac{4}{3}$배입니다. (참)

 

ㄴ. Q에서 지형류의 유속 $v$는 등수압면 기울기 $\tan \theta$, $f=2\Omega \sin \phi$에 대해

$$v=\frac{\mathrm{g} \tan\theta }{f}=\frac{10\cdot 10^{-6}}{10^{-4}}=10^{-1}\:\mathrm{m\:s^{-1}}$$입니다. (거짓)

 

ㄷ. 이 해역은 정역학 평형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연직 수압 경도력의 크기는 단위 질량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 즉 중력 가속도와 동일합니다. 한편 이 해역은 밀도와 중력 가속도가 각각 일정하므로 모든 점에서의 등수압면 기울기는 해수면 기울기와 동일합니다. (*) 따라서 수평 수압 경도력의 크기는 해역 전체에서 일정합니다. 즉 연직 수압 경도력과 수평 수압 경도력의 크기 비는 P와 Q가 같습니다. (거짓)

 

(*) 해수면(=수압이 $0$인 등수압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같은 수심 $\Delta h$만큼을 내려가면 두 지점의 수압은 모두 $\rho \mathrm{g} \Delta h$로 같게 되므로, 결국 같은 수압을 이은 선인 등수압선은 해수면 기울기와 같게 됩니다. 


20번 (47%)

예전 같았으면 3페이지에 있었고 2022학년도 수능이었다면 2페이지에 있었을 쉬운 천체 문제. A와 B를 구별할 줄만 알면 끝나는 문제이지만 어째선지 20번에 와 있습니다.

 

해설

ㄱ. 별 C의 적경은 불변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A와 B의 역행 및 순행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는 순행, B는 역행했음을 알 수 있네요. 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서 역행을 한 B는 내행성이므로 금성, 그렇게 되면 A는 화성입니다. (참)

 

ㄴ. 태양의 적경은 대충 $8\mathrm{h}$ 언저리이고 B의 적경은 이보다 큰 상태입니다. 이때 B가 역행하므로 적경 차는 작아집니다. (참)

 

ㄷ. C는 적위가 양수이므로 뜰 때 방위각은 당연히 $90^\circ$보다 작습니다. (거짓)